장백 폭포 거쳐서 백두를 다시 오르다.
(오늘 북한 쪽으로도 백두산을 밟을 수 있다는 소식을 들으며---)
지난 주간은 정신이 없었다.
미국 소수민족 문학을 공부하다가 우리 연변의 조선족 문학에 눈이 뜨여서 여기
“연변 과기대”에 객원교수로 온 김에 조선족 동포문학과 관련하여 못난 논문도 하나
작성하였다.
마침 이 논문은 과기대학에서 해마다 열리는 국제 학회 행사 직전까지 요행히 완성
날짜를 맞추게 되니 학교로 부터 첫날에는 발표하고 둘째 날에는 좌장까지 하라는
요청이 와서 무책임하게도 책임을 맡았다.
교수하는 고향 동기에게도 두어 달 전에 발표를 권하였더니 이번에 연구원 두 사람까지
동행하여 요즈음 사회적 관심사인 노인 문제에 대하여 남들이 착안치 못한 분야의 발표를 마다않았는데,
사실은 덤으로 온 예쁜 연구원들의 발표 내용이 “청출어람”이었다.
학술행사가 끝난 날 오후에는 백두산 특별 등정 계획에 따라 희망자들만 두 대의
버스로 “이도백하”를 지나서 백두산 장백폭포 바로 밑의 “천상 호텔”에 늦은 여장을
풀었다.
아, “이도백하”에는 오래된 휴게소가 있는데 그 곳에서 보통 관광객들이 물건은 사지
않고 반쯤 공개된 화장실만 이용한다.
나도 일을 반공개적으로 대충보고 흐르는 냇가에서 공개적으로 손을 씻고 올라오는데
사람들이 빙둘러서있고 누구랑 사진을 찍으며 난리이다.
가만히 보니 저 유명한 “새(조류) 박사”, 윤무부 교수가 아닌가.
우리 연구원 아가씨들도 사진 차례를 기다리고 있었다.
이럴 때는 내가 힘이 좀 있다.
“이거 윤 교수 아니오? 나---.”
“우와, 오랜만이군요.”
그는 백두산 쪽에서 내려오는 중이었다.
그가 예전에 나에게 새소리 녹음한 카세트를 3개쯤 선사한 적도 있었다.
우리는 그걸 다 기억해냈다.
일 년의 삼분의 일을 야외 텐트 속에서 지내는 이 양반의 젊은 날의 일상에는 말하자면
팩션 같은, 동화 같은 이야기들이 발을 붙이고 있다.
지금은 회갑 잔치한지도 꽤 되었다.
이양반이 하도 천의무봉하게 터놓고 사는 사람이라서 내가 이 정도만 변죽을 울리고
치고 빠져나가도 별일은 없을 듯 하다.
내 덕분에 우리 연구원들은 순서에 관계없이 사진을 찍었는데, 이윽고 버스는 곧장
떠나버려서 다른 사람들은 기회를 잡지 못하였다.
물론 함께 사진 못찍었다고 이국에서 벌금낼 일도 아니지만---.
그 버스의 앞과 뒤에는 “새 박사 윤무부 교수 ---” 무어라 적혀있었는데 다 읽지는
못하였다.
버스가 떠나자 나는 그와 나누었던 짧았던 대화를 음미해 보았다.
“윤 박사, 백두산 자주 오세요?”
“일년에 꼭 세 번은 오지요.”
“어때요? 여기 생태계가---.”
“비관적이지요. 개체 수가 자꾸 줄어요. 갑자기 늘어나는 종도 있지만 그것도 길게
보면 생태계 이상이나 파괴의 신호이지요---.”
그의 근심을 조금 더 듣고 싶었으나 그를 모델로 쓰려는 사람들 때문에 우리는 대화를
중단하고 말았었다.
백두산을 12년 전에 왔을 때에는 천지의 물에 손을 담그는 기회가 힘들었는데 이번에
보니 폭포 옆의 계단길이 너무나 잘 만들어져 있어서 점점 많은 관광객들이 그리로
몰리고 있었다.
환경보호에는 붉은 신호 지수가 막 올라가는 현상이려니---.
그건 그렇고 좌우간 내 이야기나 해야겠다.
10여 년 전에 처음 왔을 때에는 너무나 운이 좋아서 구름 한점 없는 천지를 아날로그
사진기에 마음껏 담아냈었다.
어쨌거나 최근에 잘 개발이 된 이 장백폭포 코스는 한국 관광객들에게 널리 개방이
되고 있어서 일생일대의 경험들을 하고 내려가는 사람들이 날로 늘고 있다..
나도 이 흐름에서 일탈할 수 없다는 신념으로, 새벽 4시에 일어나 장백폭포의 힘찬
포말에 옷을 다 적셔가면서도 숨차 오르는 길을 힘든 내색 없이 따라 올랐던 것이다.
학회에서 발표를 했던 내 친구는 한창 때에 티베트까지 올라갔다 온 역전의 용사였지만
작년에 심장 수술을 받고나서는 조심하느라 중간에서 내려가고 젊고 예쁜 연구생들만
펄펄 날았다.
천지에서 빠르지도 늦지도 않은 시간에 아슬아슬하게 일출을 보고나서, 다시 올라간
천문봉 영봉에서 내려다 본 천지는 최고의 상태는 아니었으나 그래도 조상님 음덕은
조금 본 셈인지,
12년 전 완전하게 천지를 관찰한 이래의 행운이 아슬아슬하게 이어졌다.
한번만 더 이런 날씨를 타서 올라오면 그랜드 슬램이 되겠지만 글쎄 다음에는 현재
공사 중인 삭도(케이블 카)를 타고 올라와 볼 꺼나---.
삭도 쪽이 생태계 보존에는 더 낫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한다.
전에 백두산으로 들어왔을 때에는 비포장도로에서 바퀴가 펑크가 난 특이한 체험도
했으나 이번에는 자작나무 숲과 미인송 사이로 리무진 버스는 시멘트 포장도로를 따라
신나게 달려왔었다.
하지만 돌아내려 갈 때에는 아직도 포장이 안 된 “조중 군사도로”를 따라 앞뒤 공간에
오로지 우리 두 대의 버스만 달리는 특이한 주행 체험을 했으며 특히 만주족이
발상했다는 "원지"와 최근 발견된 "두만강 발원 샘터" 방문,
그리고 김일성의 낚시터(조어대)에서 북한 병사들과 손 인사 등을 나눈 것은 생각지도
못했던 소득이었다.
(천녀의 목욕 장면이 아니라, 목욕 호수와 두만강 발원지 옹달샘 등의 사진은
다음에 올립니다.)
이제 북한 쪽으로 백두산에 들어가서 올라가게 된다면 장군봉에서 일출을 보리라.
(계속)
'잊힐리야, 옛땅! 연변과 만주 벌판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 페르민의 투우와 발해 공주 마을 뜨개소의 여름 광란 (0) | 2005.07.23 |
---|---|
백두산 벋어내린 곳에서 두만강 원류를 찾다 (0) | 2005.07.20 |
해림의 미완성 기념관 (0) | 2005.07.16 |
싱룽 양로원. (0) | 2005.07.15 |
마음의 유적지, 신롱 양로원 (0) | 2005.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