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Sex, &

민담 속에 서린 한국 정신의 정체성

원평재 2008. 12. 14. 23:41

계간 문예지 <문학 마을>에서는 명사 초청 강연 모임을 시리즈로 개최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한국 민담에 관한 이야기를 이 방면의 권위자인 최래옥 박사로 부터 듣는 차례였다.

추운 날씨에도 많은 분들이 와서 경청하였다.

 

 

 이날의 강연 제목은 "민담 속에 서린 한국정신의 정체성"이었는데 90분 예정 시간이 두시간으로 늘어난

명강이었다.

강연 내용은 DVD로 나중에 배포도 하는데 초록을 여기에 정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서 이 분이 전에

발표한 아래와 같은 압축 논문으로 대신코자 하는 결례를 저지른다.

사실은 이날의 강연이 더 많은 재미를 내포하였고 한국 정신의 정체성 부분도 보다 참신한 내용이었지만

모두 담지 못함을 아쉬워 한다.

 

설화문학에 나타난 인물상 <최래옥>

    

가. 설화에 대한 이해 (문학적고찰)


 1) 있다는 존재의 종류

이 이야기가 전하여 온 그것만하여도 문학적 진실이 있었기 때문이다.

바로 전승한 것은 진실이요 참이요 가치라는 말이다. 달리 말하면

문학적질문은 과거에 있었던 이 이야기가 오늘 나에게도 현재 이야기로

통하는가? 하는 진실을 묻는것이다.

설화문학에서 과거에 있던 것은 지금도 있다는 가공(加工)한 형태이며

과거역사상 인물이 주인공일때는 수용자입장에서 언제나 생동하는

인물로 재창조한 또 하나의 인물이 된다


2) 설화가 청자(聽者)에게 주는 기능

 * 재미가 있을것...흥미 오락기능

 * 교훈이 있을것...지식 정보기능

 * 보상이 있을것.. 위로,만족,긍지,수용자의 기쁨,

                   소원성취를 얻는다...보상기능

                   즉 설화의내용은 내게 동병상련(同病相憐),대리만족,대리해소,

                   선경험이다

 *구연이 재미있을것..같은 내용이라도 표현에서 차이가있다.. 구연기능


3) 설화의 전승할 가치와 영향력, 주제

    -설화내용이 가치가 있으면 전승하고 없으면 사라진다

 (1) 존엄성과 긍지를 담는다...국가와 민족에게 존엄성을준다 →건국신화

 (2) 사람의 욕망을 담는다..대리만족의 성격→부귀(富貴),강녕(康寧), 오복(五福)등

 (3) 사람의 도덕가치를 담는다 (개인면)→ 선행(善行),애정, 자비,봉사,관용등

 (4) 사회를 온전하게 유지할 덕목을 담는다 (사회면)→충성,효도,우애,등

 (5) 종교의 교리를 알고 포교를 한다..지상의 복락(福樂)은 헛것이니 집착하지

                                    않아야 사람답게 산다

 (6) 살아가며 부딪치는 문제를 해결하는 선례를 보인다..고진감래, 권선징악 등

 (7) 삼라만상에 대한 논리적 설명을 한다..일식,월식등 자연현상의 풀이

 (8) 언중유골(言中有骨)방식으로 본 뜻을 감추면서 전승한다

    -겉으론 불합리,난해하고별로 의미가 없는것같은것이 사실은

     심오하고 중대한 뜻을 담고있다 →백마강의 조룡대 전설


나. 설화문학에 나타난 인물상 원리

 1. 결국 인간이라는 원리

  * 설화의 주인공을 실제 인간과 동물, 식물, ,무생물,천체 등 비인간으로 나눈다.

    그렇지만 비인간도 결국은 사람을 대신한 것이다.

2. 동일시(同一視) 의 원리

   1) 시간의 동일시..그때가 지금이다.그때나 지금이나 같다. 과거가 현대와 통한다

   2)공간의 동일시.. 거기가 여기다

   3)인물의 동일시..그사람이 바로 나 이기도 하다

   4)사건의 동일시..그 이야기가 지금 현실 사건이다

 3. 전형화의 원리..한 인물이 그런 여러 인물을 대표한다 → 황희정승(청렴의 모델)

 4. 사실과 허구사이의 정착(定着)의 원리..

        -사실과 허구사이의  적당한선에서 착지(着地), 정착(定着) 한것


다. 사실과 허구간의 정착 양상과 사례

  1) 역사상 실제로 있었던 인물 이야기..(大역사 小허구)

   * 설화라는 허구와 창작이 들어가기에 어렵다

   * 무미건조할 수 있고 전기적 성격을가진다

   * 육하원칙에 충실하다

   * 역사책에 실록으로 나타난다

   * 구전으로는 독자적인 전승력이 약하다

   예) 세종대왕의 실기(實記), 후백제시조 견훤, 홍의장군 곽재우

       십만양병설 주장한 율곡, 가면 안오는 함흥차사 등


 2)역사상 실제로 나오기는 하지만 허구가 많이 들어있다.(小역사 大허구)

   * 역사사적 실제는 근거는되지만 절대적이지 않다.

   * 환골탈태 현상이다

   * 꿈보다 해몽이 통하는 사례이다.

   * 청자는 구체적인 시대와 장소, 하는일에 대하여서는 잘 몰라도 된다.

   *실제역사인지 착각을 하기도 한다

   * 역사상 활동과 설화상 활동이 전혀 다르기도 하다.

   * 이름을 빌릴뿐 역사상 실제와 다르다.

   예) 사명대사, 전봉준, 김삿갓, 홍길동, 임꺽정,전우치, 박문수, 원효,등

3) 역사상 존재하였는지 모호하지만 설화로는 확고한 실존인물이다,(極小역사 極大허구)

   * 지방인물은 궁중이나 공식기록에 실리지않지만 설화로는 뚜렷이 부각한다.

    예) 익살맞은 태학중, 풍자잘한 방학중, 삼천갑자 동방삭,천하명의 편작 등

4) 역사에 없지만 설화로 존재한다 (無역사 全허구)→거의다 허구

    예) 콩쥐팥쥐이야기, 안동제비원이야기,고시래이야기, 중매신 월하노인 등

5) 문학작품에 나오는 인물상

    예)홍길동, 콩쥐팥쥐, 춘향, 심청,놀부, 옹고집 등


라. 대표적인 사례분석

 * 고구려 시조 주몽의 강건너기→후세인에게 자신감을 심어주는 인간상

 * 청렴한 황희정승 ..계란유골 속담유래 →,겸손,관용,청렴결백한 인간상

 * 의병승병장 사명당→ 종교를 초월한 애국심

 * 민폐를 해결한 강감찬 →강감찬이 고려때 적을 물리친것처럼 백성의 고민을 해결해줌

 * 백성 소원을 들어준암행어사 박문수→진정한 백성의 고통을 알아주는   

                                      위정자 상을 제시해줌

 * 원혼이 된 아랑의 한을 풀어준 원님 → 지혜와 용기있는 원님상 제시

 * 장애인 지성이와 감천 →의지의 인간상...“ 지성이면 감천”

 * 부여 효자호랑이 황팔도→재능을 악용하지 말라

 * 우렁각시와 신랑 →사랑의 위대함을 보여주는 인간상

 * 익살꾼 방학중

 *근심없는 무수옹

 * 산삼동자, 효녀심청

 *버림받은 바리공주

 *내덕으로 산다소 하여 쫓겨난 셋째딸


 마. 결론

  설화문학에 나타난 인간상은 예전과 지금과 미래에도 사람답게 사는길과 방향을

예를 들어 제시하는 것이라 참 (眞理)를 담아 곧 명심설감(明心設鑑)이라 하겠다...


 

  

 

 

 문학마을의 조완호 주간과 미국 뉴욕에서온 황 시인.

 

 

 

 좌장 겸 사회는 이번에도 나의 몫이었다---. 

   

 

  

 아래에 최래옥 교수의 저서 일부를 소개합니다.

 

  • 설화와 역사 최래옥 지음 | 집문당 | 2000.11.01 책소개 설화와 역사의 문제를 다루면서 설화 연구의 역사학적 가능성을
  • 다각도로 모색한 연구글 모음. 설화 가운데서 특히 역사성이 짙은 전설을 주로 다루고 전설 가운데서 구체적인 삶의 역사를... 
  • 되는 집안은 가지나무에 수박 열린다 최래옥 지음 | 제삼기획 | 1999.12.10 책소개 홀아버지 장가 보내기, 어머니를 환생시킨
  • 아들, 시아버지의 며느리 사랑, 구두쇠 부자의 서약서, 귀한자식일수록 초년고생을 시켜라, 금강산 호랑이를 찾아나선 효자,
  • 청상과부의 재가 등... 
  • 눈치 빠른 놈은 절에 가서도 새우젓 얻어 먹는다 2 최래옥 지음 | 제삼기획 | 1999.01.25 책소개 소금이라는 이름을 가진
  • 소금 장수의 예쁘고
  •          어진 딸 이 상사병에 걸린 양반집 아들을 살리려 양반집에 시 집을 가지만 상것이라고 구박만 받다 아버지의 재치로행복하게
  •          살게 되었다는...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