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영어 영문학회 50년 둥지의 이전 지난 50년간 광화문 근처, 피어선 빌딩에서 둥지를 틀고 있던 <한국 영어 영문학회>(Ellak) 사무실이 강남구 역삼동의 한신 인터벨리 오피스텔로 금년도 다 지나가는 12월 17일, 마침내 이전하였다. 정확한 위치는 한신 인터벨리, 서관 1503호이다. 지하철 2호선 선능역에 내려서 4번 출구.. 동서 문학 산책 2007.12.17
미국 소설 학회 소식 500여명 이상의 회원이 모인 국내외 미국 소설 관련 영문학자들의 학회를 2년 회장 임기로 맡아 봉사하게 되어서 각오를 다지고 또 널리 알리고자 여기에 영상을 올립니다. 이 학회는 물론 한국 학술 진흥 재단에 등록이 되어있고 등재 학술지도 일년에 두번 이상 발간 하고 있습니다. 봄, .. 동서 문학 산책 2007.06.17
롱아일랜드의 위대한 개츠비 (도자기로 크게 구운 말의 입상이 정원에 있는 이 집이 핏제랄드가 한때 기거하며 '위대한 개츠비' 를 창작한 롱아일랜드의 저택입니다. 나무 뒤에 가려져 있군요.) (도자기로 구운 말이 더 잘 보이게 추가하여 수정해 넣었습니다.) '위대한 개츠비(The Great Gatsby)'를 쓴 스콧 핏제랄드(Scott Fi.. 동서 문학 산책 2005.10.13
오크 파크에서(헤밍웨이 생가, 라이트의 작업장, 알 카포네의 은둔처) 오크 파크(헤밍웨이의 생가, 라이트의 작업장, 알 카포네의 은둔처) 다음날 금석 선생은 좋은 차를 갖고 일찍 호텔로 찾아주었다. 내가 시카고 시내 구경은 다시 못해도 근교의 헤밍웨이 생가가 있는 오크 파크는 꼭 보아야겠다고 해서 일찍 찾아준 것이었다. 나중에 안 일이지만 금석 선생의 자택은 .. 동서 문학 산책 2005.09.05
연변 두레 마을과 박경리 "토지"의 "의란진 고성촌" 연변 두레 마을과 박경리 "토지(土地)"의 “의란진 고성촌” 공동체의 공동선을 추구하는 연대 조직, "두레마을"은 그 정신적, 추상적 구현 목표는 말할 것도 없고, 친 환경적 농산 제품, 예컨대 된장, 간장, 참기름, 두부, 꿀 등에 붙는 구체적인 브랜드 네임으로도 어언 이 시대의 총아가 .. 동서 문학 산책 2005.07.25
연변 문학 소개와 일상의 영상 91년도 소설부터 뚜렷이 등장하는 인물형으로는 여성 주인공의 출현이 두드러진다. 역사적으로 배달겨레의 역사에서 여성들의 역할은 항상 중요한 위치를 점해 온 것도 사실이지만 특별히 민족의 존망이 걸려있을 때에 그들의 역할은 돋보였다. 이러한 역사적 전통이나 역할이 이 중국.. 동서 문학 산책 2005.06.20
브라우닝 시인 부부의 덜 알려진 시 세계 로버트와 엘리자베스 브라우닝의 시 세계 (덜 알려진 부분들---) 짧은 귀향에서 돌아 와, 망향의 심금을 로버트 브라우닝의 “고향 생각”이라는 싯귀에 이중인화 했더니, 문우들이 좀 까다로운 그 서정시를 번역도 해주고 글 마당도 펴주었다. 기왕에 깔아준 멍석 위에서 멍하니 옛날 생각을 좀 더듬.. 동서 문학 산책 2005.06.05
선구자 노래비의 상흔과 O교수의 선각 선구자 노래비의 상흔과 O교수의 선각 “누가 아직 일송정 앞에서 증명사진을 찍지 않았으랴”, 라고 하면 탓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민족의 영산 백두산 관광길이 북한 쪽은 막혀있고 이 쪽으로만 뚫려서 숱한 순례 객들이 여기를 거쳐 가게 된지는 오래다. 나도 10여 년 전에 백두산이 열.. 동서 문학 산책 2005.05.24
창씨개명 논란/윤동주 민족시인 서거 60주기 (끝) 서시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명동마을에서 용정 시내로 돌아올 때에는 육도하(六道河)를 건너서 오는 길을 택하였다. 사라져가는 명동 소학교도 들리고 조선족들이 많이 사는 시골마을의 정취도 조금 더 들여다 보고 싶.. 동서 문학 산책 2005.05.22
에드가 앨런 포우 평전(끝) "어셔가의 몰락(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 감상 Poe의 대표작의 하나이며 아라베스크(arabesque) 소설로 볼 수 있는 이 작품은 사랑과 죽음이 현실과 환상의 그물 망으로 직조되어 고딕 풍의 신비적이고 초자연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Poe는 작품의 처음부터 음울한 분위기를 조성하여 비극적.. 동서 문학 산책 2005.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