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사회의 비전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 아래 사진은 종로 3가 지하철 역에서 자원 봉사자들이 벌이고 있는 노령자 무료 이발 시행 현장이다. "고령사회의 비전과 새로운 패러다임"이라는 의미있는 포럼을 소개하는 서두에 이 장면을 올려서 고령사회의 긴장감을 보다 생생하게 전달하고 싶다. 사단법인 한국고령사회 비전 연합회에서 개최한.. Photo Essay 2009.06.28
공룡의 발자취 휘날레 4 "자, 공룡을 찾아가자" 라는 애초의 구호는 이룰수 없는 희망을 나타낸 말이었다. 내 연작소설의 주인공이 가상의 도시 "빈포"에서, 혹은 서울에 올라와서 벌이는 이런 저런 인간 드라머는 끝내 포착할 수 없는 희미한 궤적으로 소멸되려고 한다. 1억 5천만 성상, 해풍과 해류에 씼겼어.. 깊이 보고다닌 투어 2009.06.26
고령사회가 공룡화 하고 있다. (자, 공룡을 찾아가자 3) 이제 우리 사회는 어디를 가나 노령인구에 대한 화두가 맨 앞머리에 나온다. 공룡의 발자취를 좇아 상족암에 도달하여 청정 뱃길에 유람선을 타고 사량도에 입도하는 바로 그 눈 앞에도 노인복지에 관한 빛나는 성과를 알리는 플래카드가 내걸려있다. 현수막 아래 노인 부부가 외롭게 여름 더위를 쫓.. 깊이 보고다닌 투어 2009.06.21
자, 공룡 2 (상족암에서 배를 타고) 여기 보이는 전경을 상족암이라고 한다. 크기 80센티미터의 공룡 발자국이 찍혀있는 곳이다. 상족암 가는 길목에 촌부들이 난전을 펼쳤다. 이 곳의 돌들은 모두 절리 현상을 보인다. 공룡 발자국을 찾기가 그만큼 좋다. 고성 건어물은 한 이름값을 한다. 청정해역에서 건진 해산물이라는 브랜드 네임을.. 깊이 보고다닌 투어 2009.06.19
자, 공룡을 찾아가자 1 (창선 대교 근방에서) 계간 문예지 <문학과 의식>에 연작 단편 <빈포 사람들>을 연재하고 있습니다. 빈포는 경남 고성 근방에 설정된 가상의 마을입니다. 졸작이지만 지금 일곱번째 이야기까지 나왔는데 대략 열한번 정도로 이야기를 풀어볼 심산입니다. 마지막 이야기는 "공룡을 찾아서"로 하여 연작.. 동서 문학 산책 2009.06.17
<말 찾아 빛 따라> (언어학자 김동소 교수 지음) 소개 외우 김동소 박사(대구 가톨릭 대학교 명예교수)가 최근 <말 찾아 빛 따라>라는 산문집을 내었다. 수필집이라기에는 학술적 내용이 깊고 오묘하며, 딱딱한 학술서라고 보기에는 너무나 재미있게 세계 언어와 우리말의 뿌리와 줄기, 그리고 잎과 꽃과 과실을 서술해 놓아서 문외한이.. 에세이, 포토 에세이, 포엠 플러스 2009.06.15
<문학과 의식> 문학의 밤 <안균세, 김사훈, 김동설 문인을 배출함> 창간 역사 20년이 되는 계간 문예지 <문학과 의식> 여름호(77호)가 나왔다. 출간 기념에 더하여 신인을 장르별로 다수 발굴해 낸 자축연이 번듯하게 열렸다. 아울러 "세계한인작가연합" 이사회도 겸사겸사 개최되었다. 미주에서도 몇분이 오셨다. 홈페이지는 http:www.wkoreawriter.co.kr인데 .. 평론, 북 리뷰, 문단 이야기 2009.06.12
토스카 6월의 오페라 무대는 4-7일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공연된 푸치니의 '토스카'로 막이 올랐다. 현대 오페라 연출의 거장 피에르 루이지 피치가 지난해 이탈리아 마체라타의 스페리스테리오 극장에서 선보인 작품을 무대, 의상, 소품, 성악가까지 그대로 옮겨와 한국에서 재현하였다. 물.. 여기 문화의 파편들 2009.06.09
그날의 감회 어떤 모임의 소식지에 실었던 내용입니다. 지난달 25일쯤 작성된 글입니다. 졸문입니다만 일단 여러가지 의미가 중첩되었던 날의 기록성으로 반추해봅니다. 2009년 5월 23일은 큰 국가적 사건과 개인적 일이 오버랩 되는 날이 되고야 말았다. 먼저 개인사적으로는 이날 서울 동북부에 자리.. 아날로그 시대의 아쉬운 세상 나들이 2009.06.07
서초 문인혐회, 강화도 문학 기행기 서초구청 공식 단체인 "서초 문인협회"의 "2009년도 오월 문학기행"이 며칠전에 있었다. 일행은 모두 38명이었다. 서초동으로 돌아온 나에게도 이사 감투를 씌워서 기꺼이 합류하였다. 언필칭 등단문인이 가장 많다는 동네의 문협이라서 쟁쟁한 문우들이 많았다. 아침 출발 때는 "또 강화도.. 평론, 북 리뷰, 문단 이야기 2009.06.04